미국 3대 음악 시상식 AMA, 그래미, 빌보드 BTS 수상 기록
미국 3대 음악 시상식 AMA, 그래미, 빌보드
미국 3대 음악 시상식에는 빌보드 뮤직 어워즈(billboard Music Awards),아메리칸 뮤직 어워즈(America Music Awards) 그리고 그래미 어워즈(GRAMMY Awards)가 있다.
방탄소년단BTS과 3대 음악 시상식 수상기록
방탄소년단은 미국의 3대 음악 시상식에서 아메리칸뮤직 어워즈와 빌보드 뮤직 어워즈는 수상 기록이 있지만 그래미 어워즈에는 2021년 최초로 후보에 올랐으나 수상은 하지 못했다. 2022년도에도 2년 연속 후보로 올랐다.
BTS 빌보드뮤직어워즈 수상기록
- 2017년 톱 소셜 아티스트
- 2018년 톱 소셜 아티스트
- 2019년 톱소셜 아티스트 / 톱 듀오 그룹(한국 가수 최초)
- 2020년 톱소셜 아티스트(4년 연속 수상)
- 2021년 톱소셜 아티스트(5년연속 수상). 톱 듀오그룹/톱 송세일즈 아티스트, 톱 셀링 송
BTS 아메리칸 뮤직 어워즈 수상기록
- 2018년 페이보릿 소셜 아티스트
- 2019년 페이보릿 소셜 아티스트, 투어 오브 더 이어, 페이보릿 팝 듀오그룹(비영어권 최조)
- 2020년 페이보릿 소셜 아티스트(3년 연속), 페이보릿 팝 듀오그룹(2년 연속)
- 2021년 아티스트 오브 더 이어(대상격), 페이보릿 팝 듀어그룹(3년 연속), 페이보릿 팝송
BTS 그래미 어워즈 수상기록
- 2021년 63회 그래미 어워즈 베스트 팝 듀오그룹 퍼포먼스 노미네이트(수상 실패)
- 2022년 64회 그래미 어워즈(2022년 1월 31일 예정) 베스트 팝 듀오그룹 퍼포먼스(2년 연속 노미네이트)
빌보드뮤직어워즈 GRAMMY Awards
빌보드에서 주관하는 음악 시상식이며, 그래미 어워드, 아메리칸 뮤직 어워드와 함께 미국 3대 대중음악 시상식으로 통한다. 1990년부터 2006년까지 FOX에서 12월마다 진행되다가 5년간 중단된 이후 2011년부터 5월 시상으로 개편해 ABC에서 다시 시작되었다. 2018년부터는 NBC에서 중계하고 있다. 닐슨 뮤직과 넥스트 빅 사운드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그 해 분야별로 빌보드 차트에서 성과를 거둔 아티스트에게 상을 수여한다.
- 국가 미국
- 주최 billboard
- 첫 시상 1990년
- 역대 TOP Arist 수상자
-
Top Artist1993년Whitney Houston1995년TLC1996년Alanis Morissette1997년LeAnn Rimes1998년Usher1999년Backstreet Boys2000년Destiny's Child2001년2002년Nelly2003년50 Cent2004년Usher2005년50 Cent2006년Chris Brown2011년Eminem2012년Adele2013년Taylor Swift2014년Justin Timberlake2015년Taylor Swift2016년Adele2017년Drake2018년Ed Sheeran2019년Drake2020년Post Malone2021년The Weeknd
아메리칸 뮤직 어워즈 America Music Awards
American Music Awards. AMA 혹은 AMAs로 줄여서 부른다. 1974년부터 시상하기 시작한 미국의 음악 시상식이다. 그래미 어워즈, 빌보드 뮤직 어워드와 함께 미국 3대 대중음악 시상식으로 통한다.
ABC에서 중계한다. 판매량, 에어플레이, 스트리밍, 차트 등을 기준으로 삼아 미국에서 각 분야별 가장 성공한 아티스트에게 수상한다. 2005년까지는 음악 산업 종사자의 투표에 의해 우승자가 정해졌으나, 2006년부터 판매량, 차트 순위 등 기준을 충족하는 후보를 선정한 후에 대중 투표로 수상자를 결정했다. 2020년까지는 AMA 공식 홈페이지, 트위터, 페이스북에서 투표가 가능했지만, 2021년부터는 AMA 공식 홈페이지와 미국 Z세대(1997년~2012년 출생)에게 가장 영향력 있는 콘텐츠 플랫폼인 틱톡에서만 투표가 가능하게 바뀌었다.
- 국가 미국
- 주최
- 첫 시상 1974년
- 역대 Artist of the Year
연도
|
수상
|
1996년
|
TLC
|
1999년
|
가스 브룩스
|
2001년
|
NSYNC
|
2002년
|
U2
|
2003년
|
마돈나
|
2004년
|
케니 체스니
|
2005년
|
켈리 클락슨
|
2006년
|
래스컬 플래츠
|
2007년
|
캐리 언더우드
|
2008년
|
크리스 브라운
|
2009년
|
테일러 스위프트
|
2010년
|
저스틴 비버
|
2011년
|
테일러 스위프트
|
2012년
|
저스틴 비버
|
2013년
|
테일러 스위프트
|
2014년
|
원 디렉션
|
2015년
|
|
2016년
|
아리아나 그란데
|
2017년
|
브루노 마스
|
2018년
|
테일러 스위프트
|
2019년
|
|
2020년
|
|
2021년
|
방탄소년단
|
그래미 어워즈 GRAMMY Awards
미국에서 가장 유서 깊은 대중음악 시상식이다. 전미 레코딩 예술 과학 아카데미(NARAS: National Academy of Recording Arts and Sciences, 통칭 레코딩 아카데미)가 주최한다. 대중음악의 흐름을 주도하는 나라가 미국인 만큼 전 세계에서 가장 위상과 권위가 높은 대중음악 시상식이라고 할 수 있다. 대중 음악가라면 누구나 가장 받고 싶어 하는 상일 것이다.
그래미란 "축음기"란 뜻의 "Gramophone"에서 비롯된 말이며 트로피 역시 축음기를 본 따 만들었다. 대중 음악의 시작과 발전이 축음기에서 비롯되었다는 의미이다. 1959년에 시작되어 2021년까지 총 63회의 시상식을 열었고, 지금까지 수여된 트로피의 개수는 8,000개에 육박한다고 한다. 2022년 1월 64회에 작년에 이어 방탄소년단이 노미네이트되었다.
- 국가 미국
- 주최 미국 레코딩 아카데미
- 첫 시상 1959년
- 수상부문
그래미의 경우 100가지가 넘는 시상 부문이 있는데, 그 중 Record of the Year, Album of the Year, Song of the Year, Best New Artist 네 부문의 상을 제너럴 필드(본상)이라고 지칭하고, '이 상을 누가 받느냐?'가 가장 이슈가 된다. 다른 상들은 대부분이 공개 방송 전에 이미 시상하고 몇 부문만(그것도 랜덤이기 때문에 매년 달라진다.) 공개방송에서 시상하는데 비해 본상 4부문은 무조건 매년 공개방송에서 시상한다.
- 제러널 필드
-
Album of the Year (올해의 앨범상)
Album of the Year는 그래미에서 가장 권위있는 부문이며, 본상 4부문 중 가장 이목이 집중되는 상인만큼 수상 결과와 관련된 논란도 많이 일어나곤 한다. 앨범에 참여한 모든 이에게 상이 주어진다. - Record of the Year (올해의 레코드상)
Record of the Year은 곡에 크레딧을 올린 송라이터를 제외한 모든 사람(아티스트, 프로듀서, 엔지니어)에게 상이 주어진다. Song of the Year과는 달리, 녹음, 편곡, 믹싱 등을 포함한 곡의 전체적 완성도를 따지는 상이라고 볼 수 있다. - Song of the Year (올해의 노래상)
Song of the Year은 곡의 송라이터에게 주어지는 상이다. 곡의 전체적인 완성도를 따지는 Record of the Year과는 달리, 곡의 멜로디와 가사를 주로 보는 편. 그렇기 때문에 아티스트가 올해의 노래를 수상한 곡을 불렀어도 작사나 작곡에 참여하지 않았다면 상을 받지 못한 것으로 처리된다. - Best New Artist (최고의 신인상)
-
- 장르 필드
- 팝
-
Best Pop Vocal Album
-
Best Pop Solo Performance
-
Best Pop Duo/Group Performance (방탄소년단 노미네이트부문)
-
- R&B
- Best R&B Album
- Best Progressive R&B Album
- Best R&B Song
- Best R&B Performance
- Best Traditional R&B Performance
- 힙팝
-
Best Rap Album
- Best Rap Song
-
Best Rap Performance
- Best Melodic Rap Performance
-
- 컨트리
-
Best Country Album
-
Best Country Song
-
Best Country Solo Performance
-
Best Country Duo/Group Performance
-
- 일렉트로닉
-
Best Dance/Electronic Album
-
Best Dance Recording
-
- 락
-
Best Rock Album
-
Best Rock Song
-
Best Rock Performance
- Best Metal Performance
-
- 얼터너티브
-
Best Alternative Music Album
-
- 재즈
-
Best Jazz Vocal Album
-
Best Jazz Instrumental Album
-
Best Jazz Latin Album
-
Best Jazz Ensemble Album
-
Best Improvised Jazz Solo
-
- 가스펠
- Best Gospel Album
- Best Gospel/Song Performance
- Best Contemporary Christian Music Album
- Best Contemporary Christian Music Performance/Song
- Best Roots Gospel Album
- 공로상 Grammy Trustees Award
- 평생공로상 Grammy Lifetime Achievement Award
- 레전드상 Grammy Legend Award
- 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