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기업은 생산과 설계를 같이 하는 종합 기업과 설계만 하는 팹리스(Fabless), 위탁제조를 하는 파운드리(Foundry) 기업으로 나누어 집니다.
파운드리와 팹리스 기업의 차이
● 파운드리란 본래 주조공정을 통해 금속제품을 생산하는 공장을 말합니다. 그러나 오늘날 파운드리란 반도체 산업에서 위탁생산 전문 업체를 의미합니다. 설계와 기술 개발을 배제하고 팹을 통한 반도체 생산에 치중하는 팹리스 업체와 반대되는 개념의 업체들을 말합니다. 반도체 제조회사가 설계에 따라 제조만 담당하는 파운드리 업체로 탈바꿈하는 추세의 원인은 제조업체들이 타고난 설계능력의 한계, 그리고 기밀 유지에 민감한 반도체 업계의 특성때문입니다.
파운드리 업체는 대만의 모리스 창 박사가 TSMC라는 기업을 설립함으로써 확립되었습니다. 파운드리 산업은 혁신적이고 선구적인 팹리스 기업과 연합하여 비경쟁적으로 제조 공급을 제공함으로써 팹리스 모델의 토대가 되었습니다.
이 분야의 절대강자는 대만의 TSMC로 파운드리 시장의 55.6%의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4위 업체인 UMC, 파워칩, 뱅가드 등 대만 기업이 10위권 안에 4개의 기업이 있습니다.
● 한국의 파운드리업체는 삼성전자와 DB하이텍이 각각 세계 2위, 10위의 순위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2020년4분기)
특히 삼성전자는 종합반도체 회사로 설계와 생산 그리고 파운드리 사업까지 하고 있으며 파운드리 사업부의 매출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DB하이텍은 한국 유일의 순수 파운드리 업체로 전신은 아남반도체입니다. 1966년에 설립되었으며 IMF시절에 아남그룹에서 동부그룹으로 넘어갔으며 순수 파운드리 시장에서 글로벌 10위권 안에 드는 기업입니다.
매그나칩
구 하이닉스 비메모리 사업부 및 LG반도체 전신. 디스플레이부분과 파운드리 사업을 하고 있으며 3월 30일 중국계 자본에 매각되었다는 소식이 있었는데 Sk하이닉스가 49.8%출자한 사모펀드라고 합니다. SK에서 분가한 매그나칩이 다시 SK로 들어가게 되었습니다. 국내 최초의 뉴욕증권거래소 상장기업으로 파운드리 사업으로 다시 한번 날개를 펼칠지 궁금합니다.
순위 | 업체 | 점유율 |
1 | TSMC(대만) | 55.6% |
2 | 삼성전자(한국) | 16.4% |
3 | UMC(대만) | 6.9% |
4 | GlobalFoundries(미국) | 6.6% |
5 | SMIC(중국) | 4.4% |
● 팹리스는 Fabrication + less의 합성어로 반도체 제품을 직접 생산(Fabrication)하지 않고 간접적으로 제품을 만드는 반도체 회사를 의미합니다.
대표적인 업체로는 애플, 퀄컴, 엔비디아, AMD가 있습니다. 팹리스는 반도체 관련 분야에 한해 적용되는 말이므로 공장이 없는 회사라고 무조건 팹리스라고 부르지 않습니다. 핍리스 회사는 제품의 마케팅이나 기술개발에만 집중하고 생산은 외부의 공장에 위탁함으로써 거액의 투자비를 절감할 수 있어 특화된 기업으로 성장이 가능합니다.
대표적인 팹리스 기업
AMD, ARM, MIPS, 퀄컴,애플, 하이실리콘,
'세계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건희 천공스승 광폭행보 발언 논란 이유 (0) | 2022.06.21 |
---|---|
윤석열 대통령 취임 한달 업적 (0) | 2022.06.20 |
김건희 봉하마을 동행 최측근 무속인 논란 누구 (0) | 2022.06.14 |
장모 수사 박순배 부장 검사 사임 프로필 (0) | 2022.06.13 |
국민의힘 민들레 모임 뜻 멤버 누구 (0) | 2022.06.12 |
댓글